25년 최저임금과 월급, 얼마나 올랐을까? 실질임금 감소로 내 월급만 그대로인가?
물가는 매년 오르는데 내 월급은 왜 안 오르지?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입니다. 이는 실질임금의 감소로 인한 결과인데요. 2025년 최저시급과 임금은 얼마인지, 그에 반해 내 월급은 얼마나 올랐는지를 비교해보면서 실질임금이 증가하였는지, 감소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6개년간 최저임금 흐름은?
구분 | 시급 | 월급 |
2019년 | 8,350원 (10.9% 인상) | 1,745,150원 |
2020년 | 8,590원 (2.9% 인상) | 1,795,310원 |
2021년 | 8,720원 (1.5% 인상) | 1,822,480원 |
2022년 | 9,160원 (5.1% 인상) | 1,914,440원 |
2023년 | 9,620원 (5.0% 인상) | 2,010,580원 |
2024년 | 9,860원 (2.6% 인상) | 2,060,740원 |
2025년 | 10,030원(1.7% 인상) | 2,096,270원 |
최저임금제도란 국가가 노ㆍ사간의 임금 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해당 제도가 적용되어 25년에 받을 수 있는 최저임금은 2,096,270원이 되게 됩니다.
더욱이 주휴수당이 반영되면 최저임금은 더욱 높아지게 되는데요. 주휴수당을 적용한 25년도 최저임금을 산출해보면 월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은 320,960원이 더해진 2,417,230원이 되게 됩니다.
나의 월급은 얼마나 올랐을까?
국내 5대 기업에 드는 직장을 다니지 않고 있는 경우라면 연봉인상률이 동결부터 많게는 연간 10% 내에서 결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 5년 평균 물가상승률 3.0%와 비교했을 때, 매년 3% 이상 연봉이 인상되었어야 실질임금을 보존하는 셈이죠.
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물가상승률 | 0.5 | 2.5 | 5.1 | 3.6 | 2.3 |
저 같은 경우에는 연매출 10조에 달하는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신입사원으로 입사했을 때만 하여도 높은 연봉으로 인해 만족스럽게 직장생활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직장생활 10년동안 5번의 연봉동결과 연봉인상 시에도 성과여부에 따라 적게는 2%, 많게는 4%의 인상을 적용받으면서 높았던 연봉이 상대적으로 쪼그라들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과거에 동종업계 대비 10%이상 높았던 연봉은 이제 비슷한 수준이 되어 더 이상 메리트가 없게 되었습니다. 최근 5년간 연봉상승률을 물가상승률과 비교해 보면 오히려 실질임금이 감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물가상승률 | 0.5 | 2.5 | 5.1 | 3.6 | 2.3 |
연봉인상률 | 동결 | 동결 | 동결 | 2.0% | 4.0% |
물론 실질임금의 감소가 저만의 문제는 아닐 것입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투잡 혹은 쓰리잡을 하는 40대 가장의 비율이 가장 높다는 기사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어, 많은 분들의 실질임금이 감소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죠. 더이상 근로소득만으로는 상승하는 물가를 감당하기 벅차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러한 이유로 빈익빈부익부 현상은 더욱 커져가고 있으며, 많은 분들이 뒤쳐지는 근로소득을 보존하기 위해 투자에 목을 매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저 역시도 주식과 코인 투자는 물론 블로그나 지식판매 등의 활동을 통해 부족한 소득을 채워가고 있는 중입니다. 든든한 소득을 만들고 더이상 근로소득에 목메어 있지 않아도 된다면 마음속에 품고 있는 사직서를 던지는 날을 맞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며
여러분들의 실질소득은 감소하지 않으셨나요? 답도 없는 현 상황에 안주하지 마시고 더 나은 삶을 위해 새로운 도전이 필요한 때입니다. 그것이 블로그가 되었던, 투잡이 되었던 중요하지 않습니다. 추가소득을 통해 이를 불려 나갈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 놓는다면 분명 길은 보이게 될 것이기 때문이죠.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임금피크제 이후 퇴직급여(퇴직금, 퇴직연금)가 감소하지 않게 만다는 단 한가지 방법!
『 임금피크제로 인해 퇴직연금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근로기간과 퇴직일 이전 3개월간의 평균임금으로 퇴직금 및 퇴직연금가 결정되기 때문인데요. 임금피크제 이후 퇴직금
lst914.tistory.com
퇴직금 지급기준 활용하여 퇴직금 최대로 받는법!(퇴직금 계산기, 퇴직연금)
『 요즘 주변을 살펴보면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없어졌다는 것을 쉽게 느낄 수 있습니다. 그만큼 이직과 N잡이 빈번한 세상에서 살고 있는 것인데요. 퇴직이 빈번한 현시대 속에서도 퇴직금 지
lst914.tistory.com
실업급여 신청조건 및 실업급여 예상금액 알아보기!
『 갑작스러운 실직에 당황스러우신가요? 걱정 마세요. 실직 후 재취업 활동을 하는 동안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하는 실업급여 제도를 이용하
lst914.tistory.com
실업급여 기간을 연장하여 받을 수 있다? 연장급여 총정리!
『 실업급여를 연장하여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실업급여 수급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특별한 사유가 발생할 경우 실업급여를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가 『연장급여』입니다. 연장급
lst914.tistory.com
댓글